2011. 4. 8. 16:16
틴스톨로 포터블 만들때 많이들 실수 하시는 것이 있어 참고삼아 팁을 올립니다..
WinRAR,7ZIP 과 같은 압축 유틸들....
Flashget, OrbitDownloader, NetTransport 같은 다운로드 프로그램들..
또한 저장을 D_drive 에 해야하는 유틸들..
틴스톨로 프로그램을 만든후 아래와 같은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
저장할때 자신이 원하는 곳에 저장 되는것이 아니고 실행 프로그램이 있는
틴스톨 폴더에 저장이 됍니다..
"WinRAR"를 틴스톨로 캡쳐한 장면 입니다..
위 이미지 에서는 %drive_C% 가 보입니다만..
만약 위의 폴더가 캡쳐가 안되었을수도 있습니다..
요즘은 포터블을 사용하면서 저장을 "D_Drive" 에 많이들 하시죠..
그래서 위와 같이 %drive_D% 폴더를 만들어 줍니다..
자신의 파티션이 많다면 E, F_Drive 도 만들수도 있겠네요..
%drive_D% 폴더안에 다른 폴더에 있는 ini파일을 복사해서 넣어 줍니다..
다른 폴더도 마찬가지로 복사해서 넣어 줍니다.. ini 에서 옵션은 ....
[Isolation]
DirectoryIsolationMode=Merged 입니다..
간혹 xp에서 빌드하면 비스타나 윈7에서 %Local AppData% 폴더에 시스템 파일이 생길수도 있습니다..
이 경우에도 ini를 설정해 주면 됍니다...
참고로 아래의 폴더는 모두 있어야 됍니다..
%drive_C%
%drive_D%
%Desktop%
%Personal% ->내문서
%AppData%
필요에 따라서는 %Temp% 폴더도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만들어 주면 됍니다..
'도움말들.... > ThinAp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hinapp 4.5 이상버젼에서 압축설정.... (3) | 2011.04.08 |
---|---|
VMWare ThinApp 로고를 제거하는 방법..(펌) (6) | 2011.04.08 |